목록Web (4)
JAN's History

web.xml은 WebApplicaion의 Delpoyment Descriptor로써 XML형식의 파일입니다.모든 Web Application은 반드시 하나의 web.xml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위치는 WEB-INF 폴더 안에 있습니다.Web.xml에 작성되는 내용1. ServletContext의 초기변수2. 서블릿 및 jsp에 대한 정의 및 매핑 MyServlet1 com.example.MyServlet1 MyServlet2 com.example.MyServlet2 MyServlet1 /myservlet MyServlet2 /anotherservlet3. MimeType매핑4. Session의 대한 유효시간5. welcome file list6. 오류 핸들러 ..

서블릿은 WAS안에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응답해주는 객체인데요!서블릿의 스레드 생명주기와 URI, URL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서블릿의 생명주기를 알기 전에 URL과 URI에 대해 짚고 넘어가야하는데요.URNURI는 리소스를 식별하기 위한 일반적인 표기법입니다. 이는 인터넷 상의 모든 리소스(문서, 이미지, 서비스 등)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입니다.ex) urn:isbn:0451450523, tel:+123456789 URLURL은 특정 리소스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웹 브라우저에서 이를 입력하여 해당 리소스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URL은 프로토콜(일반적으로 http 또는 https), 호스트(웹 사이트의 도메인 이름), 리소스의 경로 등으로 구성됩니다. ex : http..

웹서버는 흔히 아파치를 사용하는데요. 아파치와 톰켓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 서버 HTTP 서버는 URL(웹주소) 및 HTTP(프로토콜 주소)를 이해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그리고 아파치 서버는 HTTP 요청을 처리하는 웹서버를 뜻합니다. 이는 정적타입 HTML, CSS, 이미지에 데이터만을 처리할 뿐, 데이터를 처리할 순 없기 때문에 톰캣이란 것이 등장합니다. WAS (Web Application Server) 서버 WAS는 동적인 자료를 처리하는 서버입니다. 기존의 WEB서버는 정적인 데이터만 처리가 가능했기 때문에 요청이 지속적으로 들어오게 되면 HTML, 이미지를 계속 응답해줘야하는 낭비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커버하기 위해 나온것이 WAS입니다. WAS는 Web Serv..

HTTP는 기본적으로 소켓통신을 사용하는데요. 소켓 통신이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TCP/IP 정의 데이터는 OSI 7계층을 따라서 정해진 프로토콜에 의해 송신, 수신됩니다. 그리고 TCP/IP는 OSI 7계층을 4계층으로 단순화한 모델이에요. TCP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가져와 패킷으로 다른 TCP 계층에세 수신할 수 있도록 전송하는 최상위 계층입니다. IP는 정보 패킷이 정확한 위치로 전송되고 수신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HTTP : 소켓 통신 HTTP는 TCP/IP 기반의 프로토콜이며 소켓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합니다! 1. 일반적으로 HTTP 클라이언트가 HTTP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클라이언트는 소켓을 열고 서버에 요청을 전송합니다. 2. 서버는 요청을 받고 처리한..